한의학교육연구사업

한의사 직무 및 역량

최종 한의사 역량 모델

최종 한의사 역량모델(주 역량 5개, 하위 역량 15개)

주 역량은 최선의 진료, 합리적 의사소통 능력, 전문직업성 함양, 사회적 책무 수행, 효율적인 의료경영 및 관리의 총 5개로 구성

역량군 역량 정의 성취목표 개발의 예
[1]최선의 진료 [1]-1병력청취 및 신체검사
  • 환자의 병력 청취 및 신체검사를 통해 환자의 증상(symptoms)과 증후(signs) 파악하기
  • 진단에 필요한 적절한 의료기기의 선택 및 활용하기
  • 환자정보의 객관적 분석
  • 망문문절(望聞問切)의 사진(四診)을 올바르게 수행하여 환자의 증상 및 징후를 파악할 수 있다.
  • 진단에 필요한 의료기기를 적절히 활용하고, 신체검사를 통해 객관적 정보를 올바르게 수집하고 유효한 증상 및 증후를 구분할 수 있다.
  • 소견내용이나 검사기록 및 기록지를 분석하고 이를 최종 진단에 참고할 수 있다.
[1]-2전문지식 및 임상술기
  • 병 사인 분류 구조를 이해하고 증상 및 증후에 해당하는 질병(변증)명 활용하기
  • 치료 기술을 적절하게 사용하기
  • 국제 및 한국 표준 질병사인 분류 구조 및 코드를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다.
  • 의약품 용량, 치료횟수 및 강도 등을 고려하여 일반 치료 술기, 정신요법, 재활치료 등을 수행한다.
[1]-3통합적 치료
  • 환자의 가치 기준을 존중하여 치료 방침을 정하고 근거수준이 높은 치료방법을 우선적으로 적용하기
  • 치료 술기의 효과와 부작용 및 주의사항을 종합적으로 지도하기
  • 유관 분야 학문을 이해하고 이를 병행 및 융합하여 치료
  • 치료 술기 및 의학지식, 충분한 의료경험 및 환자의 가치 기준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치료 방침을 정하고 근거수준이 높은 치료방법을 우선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 치료술기에 대한 정확한 설명을 통해 환자의 이해를 돕는다.
  • 유관분야학문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필요시 적절한 술기를 활용하여 치료율을 높힌다.
[2]합리적 의사소통 능력 [2]-1한의사와 환자 간 의사소통
  • 환자가 이해하기 쉽도록 구체적이고 쉬운 용어를 사용하여 환자의 상태와 예후 등을 설명하고 환자와 신뢰적인 유대관계 형성하기
  • 환자의 이해수준에 맞추어 구체적이고 쉬운 용어로 환자의 상태와 예상되는 치료경과를 설명할 수 있다.
  • 문자 및 전화 등의 언어적 의사소통 도구를 활용하여 환자에게 필요한 안내 및 정보를 제공한다.
[2]-2한의사간 의사소통
  • 한의사 간 표준화된 용어 사용을 통해 효과적으로 의사소통하고 관련 진료기록 작성하기
  • 진료기록 작성 시 표준화된 용어를 사용하여 한의사 간 이해를 돕고 환자의 상태를 빠르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2]-3보건 의료 직군 간 의사소통
  • 환자의 상태를 파악하여 필요 시 보건 의료 직군과 효과적으로 의사소통하고 협진 의뢰 등을 수행하기
  • 협진을 위한 환자의 상태를 명확하게 분별하여 적절한 절차와 방법으로 타 보건의료직군과 효과적으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다.
[3]전문 직업성함양 [3]-1직업 정체성 확립
  • 한의사로서 지녀야 할 소양, 태도, 가치관에 대한 지속적인 성찰을 통해 정체성을 확립
  • 직업 정체성을 확립하고 전문직업 능력을 수행하기 위해 한의사 자신의 건강을 관리한다.
  • 건강 사회 증진을 위한 책무를 명확하게 인식하고, 적절한 품위를 유지한다.
[3]-2윤리의식 제고
  • 삶의 존엄성을 존중하는 생명 윤리에 적합한 행동을 취하는 태도
  • 의사로서 지녀야 할 기본적인 도덕성을 함양하여 직무 수행 시 윤리에 어긋남이 없는 태도
  • 증례보고 및 학술 활동시 연구 윤리를 준수하는 태도
  • 환자의 존엄과 가치, 자율성, 인권 등을 존중하고 고려한다.
  • 과잉진료 및 허위, 과대광고를 지양한다.
  • 연구 수행 시 개인정보 등의 관련 법규를 숙지하고 증례보고 및 학술논문 작성 등을 수행함에 있어 관련 윤리를 준수한다.
[3]-3교육과 연구 활동
  • 의학지식 및 술기를 자기주도적, 지속적으로 습득하고 계발, 적용하기
  • 의학 지식과 경험을 공식적인 학회 중심의 발표와 토론, 인턴십 등을 통해 교육, 전수 및 공유하기
  • 치료의 우선순위와 필요성, 치료방향과 안전성, 유효성 등의 의학 전문 지식을 함양한다.
  • 원전(고전 의서), 의학사, 의철학 등 한의학 기본 지식을 습득한다.
  • Pubmed, Embase, Web of Science 등을 통해 최신 연구 성과를 습득한다.
  • 진료 경험 및 연구의 성과를 객관화 된 지표로 제시하여 한의학의 발전과 저변 확대에 기여한다.
[4] 사회적 책무수행 [4]-1지역 사회 및 국내 공공 보건 활동
  • 지역 사회 건강 및 공공 보건의료 활동에 자발적으로 참여하여 건강 검진, 건강 증진 및 질병 예방에 기여하는 태도
  • 시민사회 및 지역사회 등에서 요구하는 다양한 활동에 참여
  • 지역사회에 보건의식을 고취시키고 삶의 질 향상을 위해 건강강좌를 제공한다.
  • 시민사회 및 지역사회 단체 등에 보건 분야 전문가로 참여한다.
[4]-2국제 협력 활동
  • 보건분야 국제 협력 업무에 지속적인 관심을 가지고, 활동에 참여
  • 의료분야에서 점차 확산되고 있는 보건분야 글로벌 협력 업무에 지속적인 관심을 갖고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한다.
[4]-3보건의료 정책 개발 및 참여
  • 의료 및 보건 환경의 개선과 한의학 발전을 위해 정책 및 법률 입안에 적극적으로 참여
  • 한의계에 필요한 법, 정책, 제도에 관심을 가지고, 필요한 변화를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한다.
[5]효율적인 의료경영 및 관리 [5]-1환자 관리
  • 개인정보를 포함한 진료기록부, 환자동의서 등 환자의 주요정보 및 기록을 관련 법규에 따라 관리하고, 환자에게 필요한 안내 및 정보를 제공하기
  • 위기 관리 대응 체제를 수립하고, 감염관리 규정에 따라 진료실 등을 위생적으로 유지, 관리하고 안전사고에 대처하기
  • 법적, 윤리적 기준에 맞는 진료기록부 및 환자 동의서를 작성하고 이를 관리한다.
  • 감염관련지침을 숙지하여 자가감염 및 교차감염을 예방한다.
[5]-2의약품 및 의료기기 관리
  • 의약품 및 의료기기의 결함 유무를 지속적으로 확인하고 보관 및 사용이 용이하도록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 약재의 목록화 등을 통해 효율적으로 관리한다.
  • 약재의 유효기간 및 보관방법, 의료기기의 작동검사 매뉴얼 등을 숙지하고 정기적으로 검사한다.
[5]-3재무 및 인력관리
  • 보험(청구)·세무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효과적으로 재무 관리하기
  • 의료 보조 인력과 병원관리인력 등을 효과적으로 확보, 배치, 활용하고 교육, 관리하기
  • 보험 청구 및 제반 제도의 변화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관리할 수 있다.
  • 비전 및 가치관 공유, 환자에 대한 태도 교육 등을 주기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