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평원소식

관련기사

[2022-06-02] “노인의학, 예방과 치료 분야서 한의 역량 발휘”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댓글 0건 조회 1,425회 작성일 22-06-20 09:53

본문

“노인의학, 예방과 치료 분야서 한의 역량 발휘” > 뉴스 | 한의신문 (akomnews.com)


서형식 부산대 한의전 교수, 안이비인후피부과 중심의 노인의학 강의 제공
사장되는 분야 찾아서 현대화하고 임상에 적용함으로써 의료영역을 확장


서형식.jpg

 

[편집자주] 본란에서는 안이비인후피부과를 중심으로 노인의학 분야 한의사 보수교육 강의를 제공한 서형식 부산대 한의전 교수에게 노인의학 강의를 제공하게 된 배경과 강의를 통한 기대 효과, 앞으로의 주된 연구 계획 등을 들어봤다. 서 교수는 현재 대한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 부회장, (사)대한약침학회 부회장, 한의사국가시험위원회 위원, 한국한의학교육평가원 운영위원 및 평가인증단 부단장 등을 맡아 활동하고 있다.

 

Q. 강의에서 중점적으로 강조하는 내용은?

안이비인후피부과 관련 노인성 질환을 안과, 이비인후과, 피부과, 외과 분야 등으로 나누어 임상에서 흔하게 접할 수 있는 질환들로 강의를 준비했다. 한의사와 환자가 질병의 상태를 객관적으로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는 다양한 검사법들을 전달하고자 했다. 

 

또한 욕창 등 창상 관리도 강조하고 있다. 다양한 진단 및 치료 의료기기의 활용과 창상 관리는 앞으로 한의사가 적극적으로 관심을 가져야 할 부분이다. 특히 요양병원에 근무하는 한의사라면 더욱 관심을 가져야 하는 진료 영역이다.

 

Q. 강의에서 기대하고자 하는 효과는?

한의사 회원 분들이 간단하지만 유용한 검사법과 창상 관리를 임상에서 적극 시행하기를 기대한다. 현훈 검사를 제외하고는 안과, 이비인후과 관련 급여 청구가 가능한 검사법은 아직 마련돼 있지는 않다. 그러나 강의에 소개된 검사법은 간단하지만 유용하기 때문에 치료 효과를 판단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이비인후과 영역의 노인성 질환인 난청과 관련해서 보청기 활용은 한의사가 새로운 의료영역으로 확보해야 하는 부분이다. 한의사의 의료영역을 의료법 어디에도 제한을 두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창상 관리와 관련해서는 한의사가 청구 가능한 급여항목으로 ‘단순드레싱’과 ‘염증드레싱’이 있다. 최근에는 재료대로 듀오덤, 메필렉스 등의 드레싱제를 급여항목으로 청구가 가능해져 제한적이긴 하지만 환자의 부담이 다소 경감된 측면이 있다.

 

이처럼 창상 관리는 한의사가 관심을 가져야 할 영역으로 확장되고 있다. 많은 한의사 회원 분들이 기본적인 창상 관리와 더불어 봉합술까지 임상에서 시행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Q. 노인의학에서 한의사의 역할은?

노인의학은 노년기에 접어든 사람에게 나타나는 의학적인 여러 문제를 다루는 분야로, 질병뿐만 아니라 기능의 감퇴까지 포함하는 개념이다. 노년기의 의학적인 여러 문제를 다루는 노인의학은 아주 오래전부터 한의사가 담당하던 진료 영역이다. 동의보감에서는 ‘노인혈쇠’(老因血衰)라고 해서 노년기의 의학적인 여러 문제를 ‘혈쇠’(血衰)라는 측면에서 포괄적으로 인식하고 있다. 

 

노인에게 나타나는 여러 의학적인 문제는 결국 혈기가 부족해서 나타난다고 본다는 뜻이다. 이 개념이 노년기의 의학적인 여러 문제를 모두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은 아니지만, 예방 차원에서 훌륭한 역할을 할 수 있는 부분이라고 생각한다. 결과적으로 노인의학에서 한의사의 역할은 예방과 치료, 두 분야에서 역량을 발휘해야 하지 않을까 한다.

 

Q. ‘한의사’에 대한 개인적인 정의는?

‘전통적 의학과 현대적 의학을 모두 습득하고 질병을 치료하는 의사’다. 이 정의에는 한의학을 발전하는 의학으로 인식하는 관점이 담겨 있다. 한의학과 양의학이 크게 다르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기원을 동양, 특히 우리나라에 두고 있는 것이 한의학이라면 기원을 서양에 두고 있는 것이 양의학이다. 기원에서 오는 차이 정도를 제외하고는 의학이 질병을 치료한다는 것에 대해서는 한의학이나 양의학이나 별반 다르지 않다. 

 

‘한의학을 전통, 양의학을 현대’ 라는 시각으로 보게 된다면 지속적으로 한의학은 많은 문제가 노출되고 한의사의 의료행위에도 많은 제약이 따르게 된다. 한의학이나 양의학이나 과거가 존재했는데 왜 한의학은 전통이라는 과거적인 시각으로 보고, 양의학은 현대라는 발전적인 시각으로 보는지 의문이다. 

 

Q. 앞으로의 주된 연구 계획은?

한의학전문대학원에서 외과학을 강의하고 있고, 진료에서도 외과적 치료를 임상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오래 전부터 한의사의 의료영역이었던 외과 분야는 현재 많이 축소된 것이 현실이다. 향후에는 한의사의 외과 영역 확장에 많은 역량을 발휘하고자 한다. 또한 한의사가 오래전부터 해 왔지만, 현재는 시도하지 않고 사장되는 분야를 찾아서 현대화하고 임상에 적용함으로써 한의사의 의료영역을 확장하고자 한다.

 

Q. 남기고 싶은 말은?

현대는 한의사가 다양한 진단 및 치료 의료기기를 진료에 활용하는 것이 필수인 시대가 되었다. 한의학은 전통에 머물러 있는 의학이 아니며, 과거에서 현재로, 현재에서 미래로 계속해서 발전하고 발전해 가야 하는 의학이다. 

 

한의사가 과학기술 발전의 결과물을 습득하고 임상에 활용하는 것에 주저할 필요는 없다. 전통적인 의학적 내용이 한의학이고, 현대적인 의학적 내용이 양의학은 아니다. 한의과대학에서 명명하는 ‘양방’이라는 개념은 현대적인 내용일 뿐이다. 현대적인 의학적 내용에 이런 이름을 부적절하게 사용한 탓에 학생과 일반인들은 ‘한의학은 전통, 양의학은 현대’라는 잘못된 인식을 가지게 되는 건 아닐까 생각한다. 교육에서부터 한의학을 발전하는 의학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 같다. 한 예로 한방병리는 고전병리, 양방병리는 현대병리라는 과목으로 교육하는 건 어떨까 한다.

 

민보영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